학술논문
FEMS 적용을 위한 에너지다소비 식품공정의 에너지 소비 예측 MLP 모델 성능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of energy consumption prediction MLP model performance for high energy consuming food process FEMS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김동주 이형아 구재희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2022년 추계학술발표회, 442~442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래 급중한 식품 소비의 중가로 인해 식품산업의 에너지 소비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식품산업 전반에서의 소비 에너지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FEMS를 적용한 에너지 절감 실종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정의 FEMS 실중을 위한 대상 식품공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소비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에너지 소비예측 모델링을 위해 인공신경망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MLP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 모델에 입력 가능한 초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예측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비교를 위해 조절한 MLP 모델의 초매개변수는 최적화방법, 1차 온닉충 활성함수, 2차 은닉충 활성함수이 며 , 각 조건에 따라 5 번 의 모델링을 통해 수집된 성능평가 값들의 평균을 기반으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에너지 소비 예 측 모델의 성능 평가 결과 최적화 방법은 Gradient Descent 방법 의 R-square 값이 0.51 수준으로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Conjugate Gradient 방법의 MAPE 값이 16.39 수준으로 좋은 성능을 보여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차 온닉 층 활성함수는 TanSig 함수를 사용한 모델의 경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차 은닉충 활성함수는 Linear 함수가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추가로 온닉충의 수가 2개인 모델보다 1개의 온닉층을 가진 모델의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파일럿 규모 저유황 석유 코크스 가스화로부터 탈황설비 연계운전 특성
- 태양광 폐패널 회수 실리콘을 활용한 탄화규소 분말 합성
- 고형연료제품 제조 • 사용시설의 효율 산정을 통한 지원제도 마련 연구
- 열분해 공정에 따른 열분해유 특성 분석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산정인자 개선방안 연구
- 식품가공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5 TPD급 광물탄산화 실증 플랜트의 전과정평가
- FEMS 적용을 위한 에너지다소비 식품공정의 에너지 소비 예측 MLP 모델 성능 평가
- 식품가공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용융염원자로 적용을 위한 Ni기 초내열합금의 고온용융염부식
- 국내 미이용 바이오매스 기반 식품공정 저탄소화 기술화 방안
- PVC, CoPP, PMMA 혼합플라스틱의 재질 분리를 위한 마찰하전 정전선별 연구
- 스마트팜 농가 부산물인 버섯 폐 배지의 회분 저감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 철킬레이트 용액을 이용한 플레어가스 내 고농도 H₂S 제거 공정 개발
- 서울시 음식물류폐기물 자원 효율화를 위한 추진전략(안) 도출 연구
- Pilot plant 적용을 위한 석유코크스 기반 합성 가스 내 COS 제거용 가수분해 설비의 실험적 운전 특성
- 석유 코크스 기반 합성가스 내 COS 제거용 가수분해 촉매 성능평가
- 활성탄의 포어구조 특성에 따른 CDI 성능에 관한 연구
- 열처리를 통해 휘발분이 제어된 콜타르 피치를 이용한 C/C 복합체 제조
-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염폐수 증발결정화 처리공정 개발
- 폐플라스틱 열분해 활성화 방안
- 반도체폐가스 처리용 수소분해모듈 최적 설계
- 미활용 자원 순환을 통한 탄소중립 및 에너지안보 실현
- 국내 미 활용 바이오매스의 VARIMAX 변환 방법을 이용한 PCA분석
-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현황
- 건조응축수의 생물학적처리 운영조건에 따른 TOC 제거 효율 평가
- 폐기물 가스화에 의한 합성가스 생산특성 및 수소생산량 예측에 관한연구
- 탄화 반응기별 Biochar 생성 및 Biochar 가스화 특성
- 베트남 미활용자원을 활용한 반탄화시스템 설계 기술개발
- 오일샌드 플랜트 탈염설비 제작을 위한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배달쓰레기 해결을 위한 거점형 다회용기 인프라 구축 연구
- 스크러버 반응챔버 축소모델 내부 열유동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 비전통오일의 부분개질 공정기술 개발을 위한 열분해 반응 특성 연구
- 화력발전 보일러 출구 NOx 농도 선행 예측을 위한 딥 러 닝 모델
- 중부권 미세먼지 중 건강 위해도 분석에 관한 연구
- 30 Nm³/h급 열화학적 CO₂ 메탄화 플랜트 부하유량에 따른 메탄 생산성 평가
- 폐플라스틱 원료화를 위한 시멘트 예열기 연소반응의 전산유체역학 해석 연구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산정인자 개선방안 연구
- FEMS 적용을 위한 에너지다소비 식품공정의 에너지 소비 예측 MLP 모델 성능 평가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품원단위 변동에 따른 도금공장의 유틸리티 소비량 예측 연구
-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의 열분해유 특성 분석 및 비교
- MKL-SVM 기반의 건전성 예측 및 관리기술(PHM)에 관한 연구
- 미활용 재생연료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모델링 및 구현
- 5 TPD급 광물탄산화 실증 플랜트의 전과정평가
- 미활용 재생연료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모델링 및 구현
- 이동식 의료폐기물 멸균 시스템의 설계 인자 및 운전 조건 최적화
- 공기를 이용한 장주기 에너지저장장치 개발
- 비전통오일 디샌더의 내부 형상에 따른 입자 분리 효율 비교
- 식품가공공장의 열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위한 플랫폼 설계 연구
- 소각열에너지의 현황 및 고효율시설 사례 고찰
- NOx/미세먼지 동시저감을 위한 SCR 촉매 세라믹필터의 제조
- 폐기물의 종류와 발생업종에 따른 유해특성연구: 인화성을 중심으로
-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CO₂ 탄산화 전환율에 대한 고찰
- 건설소재로서 철강 슬래그 탄산화 생성물의 활용 가능성
- 도금공정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멤브레인-전극 개발
- 열화상 카메 라를 이용한 폐기 물 소각시설의 방열손실 산정사례 연구
- 그린 암모니아 장거리 수송 가치사슬 에너지 효율 분석
- 액체 수소 적하역 및 증발가스 활용을 위한 동적 모사 모델 개발
- 국내 • 외 재활용 합성수지제 원료의 식품용 사용에 대한 관리 현황
- 음식폐기물 플라즈마 저온탄화
- Plug Flow Reactor 모델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의 열분해 특성 연구
- SO₂ 제거를 위한 이동층 흡착탑 개발 현황
- 운전온도에 따른 첨착 활성탄의 SO₂ 흡착성능 연구
- 30Nm³/h급 합성가스 초고순도 정제시스템 개발 현황
- 알카리금속계 전처리탈황제(GTS)의 미분탄연소 배가스 탈황 특성 연 구
- 상용차 적용을 위한 CO₂ 포집 시스템의 열교환망 분석
- 고형 전처리탈황제(GTS-S)의 미분탄연소 배가스의 탈황 특성 연구
-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한 수용성 절삭유 내 T-N 제거
- 전기화학방법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치용 탄소복합전극 개발
- SUS316 전극과 충진복극 전해조를 이용한 수용성 절삭유의 처리
-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저가형 N₂O 폐가스 분해촉매 제조 및 N₂O 제거 효율 평가
- 연료화를 위한 음식폐기물 및 커피찌꺼기의 연소 특성 연구
- 수치적 방법을 이용한 촉매중착장치 설계 최적화 연구
- DWSIM을 이용한 LNG 냉열발전에 관한 연구
- 데이터셋 분할 비율에 따른 머신러닝 기반의 전력 사용량 예측 성능 비교
- 폐폴리에틸렌 저온 열분해를 통한 왁스 생산연구
- 저가형 N₂O 폐가스 분해촉매 제조 조건 연구
- 폐비닐 열분해를 통한 왁스 생산 및 특성 연구
- 다단 사이클론형 집진기에서의 분쇄 의료 폐기물 입자 거동 및 집진 효율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CMP 공정용 연마슬러리 분산안정성 확보를 위한 공정변수 도출 연구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설계를 위한 사랑수수 버개스 반탄화 최적 성능 조건 연구
- 폐플라스틱 열분해 추진 여건 분석 및 과제
- 상용차용 CO₂ 포집기술 현황 및 홉탈착 시스템 설계
- 탄소 중립 메탄 생산을 위한 파일롯 규모 CO₂ 활용 공정 설계 및 운전 특성
- 반도체 스크러버 반응챔버 내 폐가스 열유동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고온 플라즈마 용융을 통한 비산재의 지속가능한 재활용 적용성 평가 연구
- 바이오그린수소충전소 설비 고장에 따른 운전영향 분석
- 엑셀 시뮬레이터에 의한 바이오매스 발전 플랜트 성능 해석
- 다선 초음파유량계의 설치효과에 대한 연구
- 지역난방 열 계량 시스템의 검정 및 재검정에 따른 특성 연구
- 반응 온도와 체류시간의 변화가 펠랫화된 바가스 연료에 미치는 영향
- 미분탄-암모니아 흔소를 위한 전산해석모델 개발 및 최적 흔소 방안 연구
- 고온 과열증기의 저 열손실 공급 및 활용 방안
- 전기차 폐배터리 안전 보관관리 시스템 개발
- 미활용 복합 바이오매스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
-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위한 촉매 제조
- 열분해유의 정제 및 업그레이딩을 통한 고부가 활동 연구
- 국내·외 재활용 합성수지제 원료의 식품용 사용에 대한 관리 현황
- 고순도 자원순환형 PET Recycle Process
- 폐플라스틱 연속식 열분해 공정기반 윤활기유 생산 기술 개발
- 폐PS 열분해유도로부터 고순도 스티렌모노머(SM) 생산을 위한 분별 증류공정 설계
- 폐 PS의 열분해를 통한 스티렌모노머 전환 최적 조건 도출에 관한 연구
- 물리적 재활용 PET의 생수용기 적용 기술 개발
- 리사이클 PET 재활용 제품 분석 및 리사이클 PET 고순도화 품질 분석 연구
- 폐PS의 저에너지 사용 연속식 열분해 공정을 통한 고순도 SM(스티렌모노머) 생산 기술 개발
-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정 부산물 활용 활성탄 제조 및 적용기술
- 폐플라스틱 열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CI 제거
- 2D 기반의 복합소스 영상인식 모듈 알고리즘을 이용한 5대 범용수지(PE, PP, PET, PS, PVC) 선별
- 수첨촉매반응을 통한 혼합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기반 윤활기유 생산
- 전기자동차용 폐 이차전지 재활용 방전 및 스마트 해체 공정기술개발
- 정선선별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선별공정 설계
- 국내 열분해시설 현황 및 제도개선 방안 -재활용 유형, 품질 기준 중심으로-
- 미활용 자원 기반 바이오매스 플랜트 실증 기술개발
- Bagasse의 연료적 특성과 Bio-drying 실증설비 설계인자 발굴을 위한 사전조사
- 공기 유입로 형상 변화에 따른 선회류가 적용된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유동특성 연구
- 부식 방지 기술 개발
- 스마트 성능진단 및 가이던스 시스템 개발
- 바이오매스 주요 공정유닛 모듈화 구조해석
- 해외 EMS 적용을 위한 원격관리 방안 강구 및 베트남 지역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방법론과 국·내외 열병합/삼중열병합 사례
- 탄소중립도시 전환을 위한 미활용 자원 및 에너지 지능형 순환 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 목질계 바이오매스 유래 리그닌으로부터 바이오연료 생산
- 순환자원 연료화를 위한 시멘트 킬른 제조공정 전산유체역학 해석 연구
- 혼합 폐플라스틱의 무촉매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도심환경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도입에 따른 소음 문제에 대한 시론 -UAM 소음의 특성과 잠재적 건강영향: 연구 방향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