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춤
이용수 23
- 영문명
- 'Dancing Woman'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이경미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79호, 127~1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는 한·중·일 고전 문학을 화려하고 역동적으로 수 놓았던 삼국 여성의 춤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국의 고유한 정서와 미적(美的) 열정이 반영된 삼국 여성들의 춤은 고대 삼국 문학의 서사의 세계를 풍부하게 하였다. 현실 세계를 장악한 통제의 빗장이 느슨해지는 문학 속에 등장하는 여성의 춤은 여성의 욕망과 의지를 표출해 내기도 하였고, ‘충 · 효’ 를 구현하는 방편으로 활용되어 유교적 가부장 사회로부터 칭송 받기도 하였고, 낭만적인 매개체가 되어 여성을 서사의 주인공으로 무대 위로 올려놓기도 하였으며, 한편 신과 소통함으로 인류를 구원하는 기적을 이루기도 하였다.
비록 봉건적인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의 육체가 매개가 되는, 그리하여 여성의 욕망을 표출하는 수단과 방법이 되었다는 이유로, 여성의 춤을 부정적으로 그려내어, 사회로부터 단절시키는 면도 있었지만, 문학 속에서 발견되는 여성의 춤은 봉건제적 억압과 남성 중심적인 차별적 통제에 대한 저항의 몸짓으로, 여성 본연의 주체성을 추구하는 선언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었던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lves into women's dances which elaborately decorated and added dynamics to the literary works produced in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As their dances reflected each country's unique sentiment and passion for aesthetics, they could enrich the world of narratives of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In the world of literature, women revealed their hidden desires and strong will through their dances, their dances were praised by Confucian communities for showing fidelity and filial piety. Also, their romantic dances helped these women take the stage and shed light on their narratives as protagonists. Through their dances, they achieved miracles like the salvation of humanity via communication with such figures.
Dancing was a double-edged sword. Patriarchal societies held reservations about women dancing as they thought women could express their desires and identities using their bodies while dancing, which they never welcomed. Yet, it is also evident that dances of women in literature, which were forms of resistance to heavy-handed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based on androcentric ideas, developed as proclamations justifying their pursuit and discovery of their true identiti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韓・中・日고전문학 속 여성 서사로서의 춤
1) 표출表出로서의 춤
2) 매개媒介로서의 춤
3) 발현發顯으로서의 춤
4) 초월超越로서의 춤
Ⅲ.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漢語副詞“無非”在韓國語中的不對稱表現
- 현대중국어 ‘S有NPVP’구문에 대한 연구 ― NP와 VP가 주술관계인 경우
- 신화와 프로파간다 -중국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从类型学的角度初步考察汉语的宾语- 主要藏缅语、韩语和汉语的比较
- 論《詩經》園林詩發微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춤
-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 양웅揚雄의 도통의식과 제자諸子 비판
- 王充의 천도무위자연 사상에 대한 연구
- 중국의 外國 地名 번역 방법에 관한 연구
- 당대 중국의 민족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중국 “민족식별民族識別”의 “민족의지(民族意愿)”와 “변통變通”을 중심으로
- 福淸方言 韻母 文白異讀의 歷史語音層次
- 중국 직업교육 이러닝(E-Learning) 시장 발전과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방안 연구
-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의 생태 철학적 함의
-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중국 문학 스토리텔링 및 교육에 관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