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Modal Adverbs Teaching (1) - Scope and Type of Adverbs of Modal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임지영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79호, 105~1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적절한 어기 부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교학 방면에 대한 단편적 고찰에 목적이 있다. 그 첫걸음으로 교학을 위한 어기 부사 범위 분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문법에서 제시한 어기 부사를 의미를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요강과 비교한 후, 요강 목록 안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어휘는 추가하고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어휘는 삭제하였다. 필자가 수정하여 제시한 문법 요강도 필자가 부족하다고 생각한 요강의 문제점을 다 보완하여 만든 것은 아니고 일부만 반영되었을 뿐이므로 이런 일련의 문제점을 더 수정하고 보충하는 연구를 지속해나가려고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piecemeal consideration of the teaching field that will help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y using Modal adverbs of fishing gear in the right place. As a first step,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ange of adverbs for teaching. After reclassifying the Modal adverbs presented in the theoretical grammar based on meaning and comparing them with the outline, vocabulary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Grammar Syllabus was added and vocabulary that was deemed unnecessary was deleted. The Grammar Syllabus that I revised and presented was not made by supplementing all the problems of the outline that I thought were insufficient, but only some of them were reflected, so I will continue to study to revise and supplement this series of problem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Ⅱ. 어기 부사에 관한 고찰
1) 어기 부사의 개념 및 특징
2) 어기 부사의 종류 및 범위
Ⅲ.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영. (2023).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중국학논총, (), 105-125

MLA

임지영.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중국학논총, (2023): 105-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