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Modal Adverbs Teaching (1) - Scope and Type of Adverbs of Modal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임지영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79호, 105~1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적절한 어기 부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교학 방면에 대한 단편적 고찰에 목적이 있다. 그 첫걸음으로 교학을 위한 어기 부사 범위 분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문법에서 제시한 어기 부사를 의미를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요강과 비교한 후, 요강 목록 안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어휘는 추가하고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어휘는 삭제하였다. 필자가 수정하여 제시한 문법 요강도 필자가 부족하다고 생각한 요강의 문제점을 다 보완하여 만든 것은 아니고 일부만 반영되었을 뿐이므로 이런 일련의 문제점을 더 수정하고 보충하는 연구를 지속해나가려고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piecemeal consideration of the teaching field that will help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y using Modal adverbs of fishing gear in the right place. As a first step,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ange of adverbs for teaching. After reclassifying the Modal adverbs presented in the theoretical grammar based on meaning and comparing them with the outline, vocabulary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Grammar Syllabus was added and vocabulary that was deemed unnecessary was deleted. The Grammar Syllabus that I revised and presented was not made by supplementing all the problems of the outline that I thought were insufficient, but only some of them were reflected, so I will continue to study to revise and supplement this series of problem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Ⅱ. 어기 부사에 관한 고찰
1) 어기 부사의 개념 및 특징
2) 어기 부사의 종류 및 범위
Ⅲ.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漢語副詞“無非”在韓國語中的不對稱表現
- 현대중국어 ‘S有NPVP’구문에 대한 연구 ― NP와 VP가 주술관계인 경우
- 신화와 프로파간다 -중국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从类型学的角度初步考察汉语的宾语- 主要藏缅语、韩语和汉语的比较
- 論《詩經》園林詩發微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춤
-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1) -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 양웅揚雄의 도통의식과 제자諸子 비판
- 王充의 천도무위자연 사상에 대한 연구
- 중국의 外國 地名 번역 방법에 관한 연구
- 당대 중국의 민족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중국 “민족식별民族識別”의 “민족의지(民族意愿)”와 “변통變通”을 중심으로
- 福淸方言 韻母 文白異讀의 歷史語音層次
- 중국 직업교육 이러닝(E-Learning) 시장 발전과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방안 연구
-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의 생태 철학적 함의
-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중국 문학 스토리텔링 및 교육에 관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