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ing: An Explanatory Study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ing: An Explanatory Stud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Ted Brown Emma Swayn Carissa Lyons Eli Chu Julia Taylor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9권 제1호, 129~1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Practitioners work with children presenting with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There is limited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nd their executive functio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ing. Methods: Forty parents/guardian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 = 7.42 years [89.05 months; SD = 11.13]; 50% female) from Australia completed the Sensory Processing Measure (SPM) and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Second Edition (BRIEF2). Scores were analysed using Spearman rho correlations with bootstrapping. Results: Some SPM subsca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our BRIEF2 composite scales: the Behavior Regulation Index (BRI; rs = .31 - .38, p < .05), Emotion Regulation Index (ERI; rs = .34 - .59, p < .05), Cognitive Regulation Index (CRI; rs = .32 - .45, p < .05) and Global Executive Composite (GEC; rs = .32 - .45; p < .05). The SPM subscales were also found to be predictive of the BRIEF2 composite scales: ERI regression model (Adj R 2 = .27, p < .005), CRI regression model (Adj R 2 = .34, p < .001) and GEC regression model (Adj R 2 = .37, p < .001). Discussion: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that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factors impact their executive functioning since they appear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inform occupational therapists’ goal setting and intervention provision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지향적 접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고용관계특성과 직무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법에 대한 고찰연구 -국내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인권감수성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에서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 분석
- 뇌졸중 환자를 위한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ing: An Explanatory Study
- 재가 치매대상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 신경인지장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용어 개발-치매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