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Occupational Therapy in Big Data Research
이용수 2
- 영문명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Occupational Therapy in Big Data Research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Ickpyo Hong Meredith F. Shields Riqiea Kitchens Karen Ratcliff Timothy A. Reistetter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7권 제4호, 155~1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with governmental support allows researchers to utilize big data to conduct rigorous rehabilitation-related studies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hile big data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few Korean rehabilitation scientists currently conduct big data research.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existing rehabilitation-related big data in Korea and introduce the current big data research trend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we provide potential research areas by discussing the previous big data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1) functional outcomes, 2) geographical variation, 3) linkage of a population-based cohort to hospital data, 4) cross-national comparison, and 5) scale development. We also discuss various statistical methods required in big data research and compare how these methods differ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in rehabilitation research. Lastl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workforce development in rehabilitation-related big data research. We hope this paper will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scientists and clinicians with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 about big data research and accelerate big data rehabilitation research communities in Kore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ig Data Comparis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Ⅲ. Research Areas
Ⅳ. Statistical Methods in Big Data Research
Ⅴ. Applications in Occupational Therapy
Ⅵ. Workforce Development in Big Data Research
Ⅶ.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노인을 위한 작업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 부산, 울산, 경남지역 작업치료사의 작업기반 중재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조사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연하장애에 적용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TMS), 경두개 직류자극(tDCS)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NMES)의 효과
- 한국형 Adelaide Driving Self Efficacy Scale (K-ADSES)의 임상 적용을 위한 심리측정학적 특성
- 작업치료(학)전공 대학생들의 치매관련 경험이 치매인식과 진로희망에 미치는 영향
-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형 집단인지재활치료의 적용 효과
-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참여와 환경 평가(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Children and Youth)의 평정척도 분석 연구
-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가정 기반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Validation of Sensory Outcome Measure : Findings from the 2011 Survey of Pathway to Diagnosis and Services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Occupational Therapy in Big Data Research
-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목욕의자 개발 및 평가
- 유방암 생존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계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ablet PC 기반 인지 평가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