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Recovery of Hand Function Induced by EMG-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in Hemiplegic Finger Extensor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신화경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3호, 61~7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EMG-stim군과 대조군에 각각 10 명씩 배정하였다. EMG-stim 군은 하루에 30분씩 2회, 주 5일, 10주 동안 (총 100회) 손가락 폄근에 EMG-stim 치료를 실시하였다. 반면, 대조군에게는 어떠한 치료도 실시하지 않았다. 손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에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를 EMG-stim군과 대조군 모두 실시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 EMG-stim군은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비교에서 EMG-stim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종속 변수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장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실시한 EMG-stim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Functional motor recovery was studied in subjects with a chronic hemiplegic hand before and after intensive treatment with electromyography-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EMG-stim).
Methods :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EMG-stim group (N=10) or control group (N=10). The EMG-stim group received 2 sessions (30min/session) per day, five days per week, for over 10 weeks(100 sessions in total) on the extensor digitorum communi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ir hand function was measured using an integrated EMG, ROM on a finger extension and Purdue pegboard test.
Results : The EMGーstim group increased the IEMG, ROM, and the number of pegboards across the test session, whereas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for both test sessions. The EMG-stim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dependent variabl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stroke patients receiving intensive EMG-stim showed functional hand motor recove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안연구
-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과목개선 실행방안 연구
- 뇌졸중 후 상지 기능 회복의 예측을 위한 Simple bedside test의 유용성 연구
-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와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아동을 위한 과제중심(task-oriented) 중재효과에 관한 근거
- S-PBL 학습방법에 대한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만족도 요인분석
-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 중증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지원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손 기민성 측정을 위한 10초 검사와 Box and Block Test,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간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