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아동을 위한 과제중심(task-oriented) 중재효과에 관한 근거
이용수 10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Task-Oriented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최유진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3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통하여 중재결과를 ICF 모델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DSM-Ⅳ 진단 기준에 따라 발달성협응장애에 해당하는 0∼12세 아동으로 과제중심 중재방법인 신경운동 과제훈련과 일상 작업수행의 인지중심 접근 두 가지에 관하여 1995년 1월∼2007년 11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Pubmed와 Medline을 통해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을 하였다.
결과 : 중재 효과는 과제중심 중재결과 자료 중 17개(62.96%)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신경운동과제 훈련 접근법에서 5개(18.52%), 일상작업수행의 인지 중심 접근법에서 12개(44.44%)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CF 모델로 제시한 결과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4개(51.85%), 활동 및 참여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3개(48.15%)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효과는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에서 6개(22.22%)이었던 반면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11개(40.74%)로 분석되었다.
결론 :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고찰 결과 과제중심접근이 ICF model의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논문 수가 8개라는 제한점이 있으나, 국내작업치료분야에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고, 임상적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videnc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task-oriented approach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Treatment outcomes are presented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ethods : Participants had to be children diagnosed with DCD according to DSM-Ⅳ and aged 0 to 12 years old. Their intervention could be neuromotor task training and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The literature 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Pubmed (January 1997 to November 2007).
Results : There were 17 (62.96%)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neuromotor task training, and 12 (44.44%)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ICF model presented 14 (51.85%) papers on body structure & function and 13 (48.15%) papers 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there were 6 (22.22%)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body structure & function and 11 (40.74%) papers on the effectiveness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Conclusion : This paper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at reports on the effectiveness of a task-oriented approach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The results of the review presented greater effect on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the ICF model. There was limit of 8 journals used. But this knowledge is utilized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refore presents evidence of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안연구
-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과목개선 실행방안 연구
- 뇌졸중 후 상지 기능 회복의 예측을 위한 Simple bedside test의 유용성 연구
-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와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아동을 위한 과제중심(task-oriented) 중재효과에 관한 근거
- S-PBL 학습방법에 대한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만족도 요인분석
-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 중증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지원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손 기민성 측정을 위한 10초 검사와 Box and Block Test,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간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