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국 보건소의 작업치료사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resent Conditions and Ways ofImprovement of the Whole Community Health Center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경희 김경은 손미옥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1권 제2호, 31~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0.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olicy task on the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health centers.Method : A questionnaire was sent to 242 community health centers nationwide and (a total of) 135 questionnaires was returned between November 15, 2002 to December 20, 2002. We us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for the questionnaires, generated by SPSS for Windows 10.0 version. a statistic analysis program.Results : 1) They do not promot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person significantly in community health centers. 2) Little has been carried out for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abs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attributes to the lack of knowledge on occupational therapy by outpatients, the lower demand, the lack of budget for hiring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t also shows that the occupational therapy is currently performed comprehensively by other department. 3)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was more than one pers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ppropriat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ncludes the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disabled person living at home, the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disabled person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and the education on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disabled person and their famil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아의 치료 실태와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의 비교분석
- 과제지향적 학습에 의한 성인뇌성마비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변화
- 신체장애인 운전자 재활에 있어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 작업치료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인식도 조사
- 65세 여성 노인의 인지지각 기능이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 및 치매 환자의 회상 치료 효과
- 기본 일상생활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뇌졸중 환자의 중요도
-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서 편측 무시에 대한 시야 가리기 방법의 효과
-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미치는 영향
- 전국 보건소의 작업치료사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와 Modified Barthel Index를 이용한 척수 손상 환자의 기능 평가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