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와 Modified Barthel Index를 이용한 척수 손상 환자의 기능 평가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Spinal Cord LesionThrough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 and the ModifiedBarthel Index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영진 박창일 신지철 배하석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1권 제2호, 9~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 (SCIMⅡ)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o determine the evaluation tool in order to use the tool as an effective index for following these patients for functional changes and determin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utcomes.Method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20 patients who underwent there first time rehabilitation care at A hospital from December 2002 to April 2003. The patients were evaluated at a 2-week interval using the SCIMⅡ and the MBI.Collected data analysis were completed by using Total agreement and Kappa coefficient of agreement, McNemar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Wilcoxon rank sum test.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1.A high correlation was seen in the results of evaluation made by two raters in the SCIMⅡ, showing high interrater reliability(r=0.99, p<0.01).2.When functional changes were compared, more changes in the common items including management in bladder sphincter muscle(p<0.01), toileting(p<0.05), and bathing(p<0.05) were seen in the SCIMⅡ compared with the MBI. Furthermore, among the non-common items in the SCIMⅡ, significant changes were estimated in breathing, prevention of bed sores and bed mobility, and outdoor movement, the SCIMⅡ well reflecting major func-tional change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3.When the scores of the SCIMⅡ and the MBI were compared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discharg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 two evaluation tools. However, the SCIMⅡ admis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BI admission scores in patients with quadriplegia (p<0.05), due to the effects of non-common items such as breathing, prevention of bed sores, and bed mobility.4.When these tools were compared according to muscle strength change, the SCIMⅡ com-pared with the MBI well reflected upper extremity motor score and the ASIA motor score in patients with complete and incomplete quadriplegia(p<0.05), and lower extremity motor score in patient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lesion(p<0.05).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MⅡ is more sensitive compared with the MBI as a tool for functional evalu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 suggesting that the SCIMⅡ would be used to examine functional change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 and to effectively follow-up patient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utcom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아의 치료 실태와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의 비교분석
- 과제지향적 학습에 의한 성인뇌성마비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변화
- 신체장애인 운전자 재활에 있어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 작업치료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인식도 조사
- 65세 여성 노인의 인지지각 기능이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 및 치매 환자의 회상 치료 효과
- 기본 일상생활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뇌졸중 환자의 중요도
-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서 편측 무시에 대한 시야 가리기 방법의 효과
-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미치는 영향
- 전국 보건소의 작업치료사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와 Modified Barthel Index를 이용한 척수 손상 환자의 기능 평가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