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에서의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와 5점척도 Modified Barthel Index(MBI)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correlation of Functional Independence Masure(FIM) and 5 scale Modified Barthel Index(MBI) in patient with CVA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남궁영 이한석 장기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4권 제1호, 45~5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of 5 scale-MBI as ADL asessment instrument for stroke patients. The subject was 34 patients following CVA on rehabilitation ther- apy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 Yonsei medical center. They were assessed with FIM, and 5 scale-MBI in a day. There scores were taken statistics through SAS package, so that we have Pearson's R score. The results is following. 1) FIM and 5 scale-MBI scores averaged 86. 21, 62. 32. 2) On Pearson's R score between FIM and 5 scale MBI was 0. 9345(p(0.001).
Therefore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3) On Pearson's R score between motorFIM and MBI was 0.8565(p(0.001), between cog- nitive FIM and MBI was 0.4641(p(0.01). There was significant.
4) On Pearson's R score between same category of FIM and MBI - self care, sphincter control, mobility, locomotion - each others was 0.8960, 0.6974, 0.8585, 0.8540 (p(0.001 ) .
In conclusion, 5 scale MBI was found to be useful scale to assess the stroke patient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