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운동 수준에 따른 공동체 의식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n Analysis of Community Awareness according to the Exercise Level of Pre-primar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최흥섭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9권 제2호, 77~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운동 수준에 따른 공동체 의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교양 및 전공과정 수업에 참여한 D교육대학교 1학년 172명과 2학년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는 공동체 의식 하위요인 중 자발적 참여 및 의사 표현에서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서는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 수준에 따라서는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상·중’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동안 코로나19 영향으로 공동체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되는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거의 할 수 없었다. 이에 이러한 활동을 활성화하여 우리(we)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대학교 생활에서 휴학·자퇴 학생과 체육·스포츠 활동과의 관련성 및 이들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연구와 이들의 사회적 관계에 따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172 first graders and 152 second graders of D Education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liber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2022 to analyze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of inten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gender.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by grade. Third, depending on the level of exercise, the 'upper and middle' group was higher than the 'lower' group in all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meantime, we have missed many opportunities to cultivate sports activities that help foster a sense of community due to COVID-19.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me(ego) and have a consciousness of us by activating sports activities. Finally, a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dropout student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and furthermore, the need for research according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