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통한 청소년기 자살시도 예측 모델 개발
이용수 50
- 영문명
-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Suicide Attempts Using the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Web-Based Survey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영근 우성일 한상우 이연정 김민재 진현서 김지연 황재욱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2권 제3호, 95~10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Assessing the risks of youth suicide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is crucial.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suicide attempts using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Methods KYRBWS is conducted annually o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The KYRBWS data for 2021, which showed 1206 adolescents reporting suicide attempts out of 54848, was split into the training (n=43878) and test (n=10970) datasets. Thirty-nine features were selected from the KYRBWS questionnaire. The balanced accuracy of the model was employed as a metric to select the best model. Independent validations were conducted with the test dataset of 2021 KYRBWS (n=10970) and the external dataset of 2020 KYRBWS (n=54948).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 prediction by the selected model was measured for sensitivity, specificity, true prediction rate (TPR), and false prediction rate (FPR).
Results Balanced bag of histogram gradient boosting model has shown the best performance (balanced accuracy=0.803). This model shows 76.23% sensitivity, 83.08% specificity, 10.03% TPR, and 99.30% FPR for the test dataset as well as 77.25% sensitivity, 84.62% specificity, 9.31% TPR, and 99.45% FPR for the external dataset,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pecific machine learning model can predict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with high accuracy.
목차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