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의 조직변화요인 분석
이용수 28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in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승수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권,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in school an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hange model on the basis of change theo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empirical research has execut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are 693 teachers from high school. The survey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questionnaires that consi.st of 78 items: the questionnaires are devided into four parts such as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process,
teachers'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chool. The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included means, standard deviation. F-test, Pearson's correlation, eanoni.ca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method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this study were as follows.
I. Most of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in this study had great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in school organization.
2. Teacher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sex distinction among teachers. but the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school and boys' one.
3. The higher change readiness and change adaptability had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hange effectiveness.
4. The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decision-making,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task attitude in school had mor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variables such as integration structure. change adaptability, power structure, goal attainment. and task structure had great effect on change process variables of school organization.
5. The variables such as task attitude. integration structur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change adaptability had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teachers' behavior in school.
6.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ed upon the appropriatenes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that consist of problem solving, change readiness. communication, task structure. integration structure. and so on.
7. The school organizational change model proved to be approprate in this study and school organizational change revealed the critical path as follows: organizational structure -> change process ->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8. Teachers' behavior had the leas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hange orientation and change readiness did not direct effect on change effectiveness.
목차
I. 문제의 제기
II. 조직변화의 이론모형과 관련변인의 탐색
III. 학교 조직변화 요인의 실증적 분석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지도성 방해요인에 대한 교장의 인식조사
- 학교의 조직변화요인 분석
- '부산 중등 사학의 재정실태와 발전방향' 에 대한 토론
- 부산 중등 사학의 재정실태와 발전방향
- 부산 중등 사학의 과제와 발전방향
- 초등학교 예산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중등사학의 자치 신장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
- 보육시설의 운영 내실화 방안
- 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제고방안
- 지방교육재정 배분과 탄력성
- 열린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경영체제 탐색
- '사학의 자치 신장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
-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연구
- '사학의 자치 신장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
- '부산 사립중등교육의 시설현황과 발전과제' 에 대한 토론
- 부산광역시 공 사립 유치원의 공교육비 분석
- 부산 사립중등교육의 시설현황과 발전과제 -인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부산 중등사학의 재정현황과 발전과제'에 대한 토론
-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설치와 단위학교 행정체계의 재구조화' 에 대한 토론
-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와 단위학교행정체계의 재구조화
- 소규모학교의 통ㆍ폐합 관련요인 분석
- 시장접근방법과 교육개혁
- CAI에서 학습자의 학습활동유형 , 학업성적 및 과제난이도에 따른 영어단어학습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