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오 드라잉 공정이 바이오매스 기반 발전 플랜트의 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1
- 영문명
- Energy Savings by Applying Bio-drying on Biomass Power Plant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박종혁 안성율 박영수 성호진
- 간행물 정보
- 『환경에너지공학』제18권 제1호, 39~4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on utilizing renewable energy, which emits less greenhouse gas compare to fossil fuels, is getting noticed as environmental problems arise. Hydrogen energy and biomass as well as natural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heat, wind power, geothermal heat, etc.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efficient usage of biomass, several pre-treatment process is needed. The torrefaction process removes moisture and volatile gases to produce a solid fuel with a high ratio of fixed carbon. The bio-drying process using the metabolic heat of microorganisms charges less operating costs compared to commercial thermal drying processes. The biomass based power plant applying bio-drying process was modeled with a process simulator and the effect on energy saving was compared with the plant applying thermal drying process. By replacing the thermal drying process to the bio-drying process, heat recovery was needed to use waste heat. In the case applying bio-drying process, boiler feed water preheating and additional steam generation was considered for heat recovery. The required energy for bio-drying process was reduced about 500 kW and required feed stock was reduced about 13%. Though the simulated process has simple heat exchanger network, energy was saved as applying bio-drying process. The bio-drying proces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processes utilizing biomass to save energy.
목차
1. 서 론
2. 바이오 드라잉
3. 공정 모델링
4. 결 과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