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계설정 도구로서의 ChatGPT: 초등학생의 수학 논리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이용수 135
- 영문명
- ChatGPT as a Scaffolding Tool: Evaluating the Impact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ogic Problem-Solving Skill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안도연 손태권 이광호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3권 제2호, 183~1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scaffolding using OpenAI’s large language model, ChatGPT-4.0, with the aim of enhanc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og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Vygotsky’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the influence of AI-based hint provision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nts provided by ChatGPT effectively improve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levels, particularly utilizing restructuration and verification strategies efficiently. Furthermore, this AI model accurately identified the students’ errors and provided appropriate hints considering these errors. However, such effects varied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the problem and the students’ level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I as a tool for personalized educational support and suggest its applicability,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ology
Results
Discussions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