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체 기반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학생역량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3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on Student Competencie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김명희 김경은 강미정 박현정 장윤호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2호, 45~7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체험-상담-튜터링으로 구성된 공동체 기반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학생역량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효과적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역량으로 의사소통역량과 자기주도학습역량을 선정하고, 프로그램 전-후 해당 역량 및 대학생활 적응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해당 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총 53명의 응답 결과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참여 학생의 의사소통역량, 자기주도학습역량, 대학생활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 및 적응의 하위요인 효과 면에서는 인지적 측면보다 기능 및 태도적 측면에서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둘째, 의사소통역량과 자기주도학습역량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공동체 기반의 복합적 지원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고, 효과적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consisting of experience, counseling, and tutoring on students' competencies and ability to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After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were selected as competencies related to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o measure the change in competencies and how well the student had adapted to university life.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 t-test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ompetencies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 total of 53 responses were used a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erms of sub-factors of the competencies and adaptation, the effects in the function and attitude aspects were more prominent than in the cognitive aspect.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former was the higher of the tw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usefulness of a community-based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university life adaptation was confirmed, and plans for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a program for effectiv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were presented.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수자의 자기수업컨설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기관연구 전담 조직의 역할 및 기능 탐색
-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한 대학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타당화: 경제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혁신지원사업 교육영역 프로그램 분석 틀 개발 및 유형화 : 수도권 대형사립대학을 중심으로
- 공동체 기반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학생역량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 학습컨설팅을 위한 대학생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사례: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효과에 대한 질적 사례 분석: Core Reflection 모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