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 철학에서 영아 언어 의미 찾기
이용수 96
- 영문명
- In Search of Meanings of Infants’ Language Based upon Deleuzian Philosophy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김윤미 윤은주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3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말’이 중심이 되어 논의되는 언어발달 담론을 재조명해 보고자 함이다. 언어발달 담론에서 영아의 언어는 무의미 혹은 비(非)언어로 지칭된다. 따라서 영아 언어 연구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말’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측면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영아의 삶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행위가 ‘말’을 보완하는 비언어적 요소가 아닌 그 자체도 언어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위의 주장을 긍정하는 들뢰즈 철학을 바탕으로 영아의 언어를 조명하였다. 들뢰즈는 자신의 저서에서 ‘말’의 의미가 구조라고 주장하는 구조적인 언어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다. 이를 넘어서서 인간이 생성해내는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야말로 진정한 언어임을 강조한다. 그의 저서 중 언어에 대한 의견이 구체적으로 피력되는 「의미의 논리」, 「안티 오이디푸스」, 「천개의 고원」의 중점적 고찰을 통해, 영아의 삶과 얽혀 표현되는 다양한 행위의 의미가 어떻게 언어로 긍정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주장하는 바는 영아만의 세계 속에서 그들만의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언어 패러다임으로 함몰된 영어 언어의 제한점을 넘어서는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영아 언어가 가진 무한한 잠재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peech,” the foundation of infant language development discourse, and thus aims to shed light on language acquisition-centered discussion. Language development discourse considers the language of an infant as being without meaning or non-verbal (non-language). Therefore, infant language research has focused primarily on suggesting ways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socially agreed-upon act of “speech.” This study considers Deleuze’s philosophy as acknowledging the claim that various actions during infancy are not just non-verbal elements that are supplementary to “speech” but instead have the meaning of language on their own. In his writing, Deleuze critiques structural linguistics that claims that the meaning of “speech” is structure . Transcending such thought, he emphasizes that true language actually consists of the various non-verbal elements that humans create. By examining Logique du sens, L’anti oedipe, and Mille plateau, works of Deleuze that expound on his views about languag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e various actions expressed during infancy can be affirmed as language. Ultimately, it argues that an infant’s world contains a language of its ow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들뢰즈 문헌 고찰
Ⅲ. 구조주의 언어학에 대한 들뢰즈의 입장
Ⅳ. 구조주의 언어학의 기본 체계를 넘어서
Ⅴ. 그리하여 들뢰즈 관점에서 영아 언어 바라보기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