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의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복지서비스 욕구
이용수 231
- 영문명
- Parenting Experiences of Welfare Service Needs of Mothers with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uring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전은지 /Jeon Eun Ji 1 , 하정희 /Ha Jung Hee 2 , 김지혜 /Kim, Ji-Hye 3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39권 제2호, 49~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복지서비스 욕구의 주관적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 공문을 통해 모집한 시각장애아동의 어머니 8명을 면접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 질문지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에 따라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가 경험하는 교육과 양육의 특성에 따른 영역은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의 한계’와 ‘양육에 작용한 변화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코로나19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이 겪은 변화의 영역은 ‘코로나19에서 아동의 내적 변화’와 ‘코로나19에서 아동의 환경적 변화’이다. 셋째, 필요한 복지서비스 욕구의 영역은 ‘시각장애 학습지 지원 욕구’와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로 탐색됐다. 결론: 코로나19 시기의 시각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경험과 특수한 욕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상담심리서비스와 복지 지원의 특수한 욕구에 따른 실천적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the insight in the parenting experienc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8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by the CQR method.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were ‘limitations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hanging roles in rearing children. Second, the changed domains by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uring the COVID-19 were ‘internal changes of children in COVID-19'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children in COVID-19. Third, the domains of welfare service need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were ‘the desire to support learning sites for visual impairments' and ‘the desir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Conclusion: We sought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and particular requirements of mothers with visually impaired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this article could be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such as counseling, psychological services, and welfare assistance for the post-COVID-19.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