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Career Interrupted Women’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Employ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유희정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1권 제1호, 155~1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의 여성인력개발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20세 이상 경력단절 여성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연결망의 부분 매개모형인 가설 모형이 완전매개 모형인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모형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진로장벽 지각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연결망을 매개하여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구체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진로장벽 지각, 사회연결망은 고용가능성 총 변량의 39%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전국적 표집의 필요성, 경력단절에 대한 심리외적 변인과의 관계 탐색 및 질적연구방법을 포함한 통합적 접근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in the influenc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employability. Data was collected from 288 career interrupted women in Busan who participated in variou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rceived career barriers affected employability directly. Second, social network mediates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employability. Final selected model shows that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social network were able to explain 39% of employability. Limitations on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investigation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상상력과 교육의 관계 연구
- CoRT 사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마트수업에서 학생의 집중도 및 학습시간 사용 경향 분석
-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부모의 계층에 따른 교육열의 차이를 중심으로-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uditory Training in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A Scoping Review Mapping the Diversity of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 Measures
- The Effect of an Aging Population on Hearing Loss
- Characteristics of Verb Retrieval According to Hoehn and Yahr Stag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