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수업에서 학생의 집중도 및 학습시간 사용 경향 분석
이용수 27
- 영문명
- The Tendency Analysis of Learning Concentration and the Use of Learning Time in Smart Learning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경현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1권 제1호, 113~13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 정규교과의 스마트수업에서 학생이 수업에 얼마나 집중하는지 그리고 주로 학습 시간을 어떤 활동에 사용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실수업에서 수행된 스마트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집중도에서 스마트수업 보여준 학습집중도는 전통적인 수업과 크게 다르지 않거나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에서 학습집중도는 매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의와 전문성에 기인하고 있음을 재차 증명하고 있다. 둘째, 학습시간 사용 경향에 있어서 초등학교 스마트수업에서 학생들은 교사 설명 경청, 토론, 교사 지시 따르기, 자료탑재 및 기록 순으로 학습시간을 사용한 반면, 중학교 수업에서는 교사 설명 경청, 교사 지시 따르기, 토론, 장난 및 무관심 순으로, 고등학교 수업에서는 장난 및 무관심, 아이디어 생성, 자료 탐색, 교사 설명 경청 순으로 학습시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시간별로 발생한 학생의 대표적인 학습 행동 패턴을 연결한 결과, 초등학교 연구 학교 수업은 교사 설명 경청→토론→자료탑재 및 기록→토론→점검 및 평가→토론 →교사 설명 경청의 패턴 경향을 나타냈고, 중학교 연구학교 수업은 교사 설명 경청→장난 및 무관심→교사 설명 경청의 패턴 경향을, 고등학교 수업은 자료 탐색→아이디어 생성→자료 탐색→아이디어 생성→장난 및 무관심의 패턴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스마트수업을 확산하는 데 있어 교사가 스마트기기를 보조적이고 수동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긍정적이고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전략의 개발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Using analysis of the smart movie clips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ubject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results that how much concentrated the students were and which activities were emerged as a consequence of that learning. The conclusions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earning concentration of the smart learning doesn't have a difference from traditional learning or it is likely to be lower than traditional one. For that reason, it proves that learning concentration in a class is based on teachers' enthusiasm and expertise rather than instructional media. 2) Elementary students in the smart learning tend to spend their time on studying following this sequence; First, listening to the teacher's explanation; second, discussion; then, following the teacher's direction; finally, loading and writing of the data. In opposition to the elementary ones, middle schoolers spend it in the following sequence; First, listening to the teacher's explanation; second, following the teacher's direction; then, discussion; finally, mischief and learning disinterestedness. In contrast to grade and middle schoolers, high schoolers follow this sequence; First, mischief and learning disinterestedness; second, idea generation; third, loading and writing of the data; fourth, listening to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 finally, listening to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 Proceeding from this fact, for the diffusion of smart learning, it'll ne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that can support for teachers to apply the smart device positively and self-directly rather than use it in a assist and passiv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상상력과 교육의 관계 연구
- CoRT 사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학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마트수업에서 학생의 집중도 및 학습시간 사용 경향 분석
-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부모의 계층에 따른 교육열의 차이를 중심으로-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uditory Training in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A Scoping Review Mapping the Diversity of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 Measures
- The Effect of an Aging Population on Hearing Loss
- Characteristics of Verb Retrieval According to Hoehn and Yahr Stag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