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유능감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89
- 영문명
- Effects of Young Children's Competence on Mastery Motivation Moderated by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Focus on Temperament Type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송지은 신나리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9권 제2호, 2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in th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competence, as determined by their temperament, on mastery motiva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29 mothers with children aged 3-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ing in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Model 2.
Results: Children’s tempera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 easy-active temperament, easy-inactive temperament, slow temperament, and difficult temperament.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competence directly affected their mastery motivation when they had easy-inactive, slow, or difficult temperament. It was also found that mothers’ intrusive control had a direct main effect on object persistence when children had easy temperament,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mastery pleasur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nxious protection on the pathway from children’s competence to object persistence were significant only among children with a slow tempera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mothers to adapt their parenting behavior to their children’s temperament type. The study confirmed partial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competence, as determined by their temperament, on mastery motiva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기록작업 모형 개발
- 유아의 유능감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유아의 자유놀이시간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내 인공지능 로봇 사용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인공지능 인식 차이
- 유아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