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시기 유아 부모의 양육불안 영향 요인: 문화성향,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부모-교사 파트너십
이용수 76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the Parenting Anxiety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the COVID-19 Period: Cultural Disposition, Parent-Teacher Partnership and Satisfac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계숙 손환희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51~2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VID-19로 부모의 양육불안이 가중될 수 있는 사회적 위기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부모의 문화성향, 부모-교사 파트너십 및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전국에 거주하는 학부모 총 330명을 대상으로 문화성향 척도, 부모-교사 파트너십 척도,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양육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문화성향 및 교사와의 파트너십,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양육불안 요인들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불안 요인에 그들의 문화성향, 부모-교사 파트너십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는 정적, 부적 영향요인이며, 문화성향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특히,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은 양육불안 전체와 양육책임 불안, 자녀 의존 불안, 완벽주의 불안, 양육자원 불안 등 모든 하위 불안을 증가시키는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이었다. 이를 토대로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양육불안 감소를 위하여 이에 대한 문화성향의 영향 이해와 부모-교사 파트너십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를 강화하는 부모교육 방안과 유아교육기관 운영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a social crisis situation where parenting anxiety may be aggravated by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ve influences of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satisfac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e parenting anxiety.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using 4 scales and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parent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ctors of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Second, parents'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wer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ing variables to the parenting anxiety, and cultural disposition had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Particularly,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disposition,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on parenting responsibility, dependence on children, perfectionism, and parenting resources,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ing anxiety.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ultural disposition on parenting anxiety and find ways to strengthen parent-teacher partnership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parental parenting anxiety experienced in pandemic situations such as COVID-19.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인과 함께 하는 그림책 예술교육 : 점 그림책 만들기에 관한 예술기반 연구
-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COVID-19 상황에서의 초·중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실태 및 교사 인식 조사
-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학교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 COVID-19 시기 유아 부모의 양육불안 영향 요인: 문화성향,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부모-교사 파트너십
-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음악과의 문화적 공동체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음악 중심 영화의 PBL(Project Based Learning)학습 방안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기반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교 방과 후 아 카펠라 활동 지도방안 연구
- 변성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컬 지도방안 연구 - 호흡과 리듬 교육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