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부모-손자녀 친밀감과 연령주의(Ageism)의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11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mage of the Elderly in the Relation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Intimacy and Ageism: Focusing on the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이창숙 조춘범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3권 제3호, 69~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부모-손자녀 친밀감과 연령주의(노화 인식, 노인차별 인식 및 태도, 노인차별 행동)의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조사는 판단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경기도 총 10개 초등학교의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44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조부모-손자녀 친밀감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조부모-손자녀 친밀감과 노인차별 인식 및 태도의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조부모-손자녀 친밀감과 노인차별 행동의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개선과 연령주의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mage of the elderly in the relation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intimacy and ageism (perception of aging, perception and attitudes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discriminating behaviors against the elderly). This survey was conducted among 5th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using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and 446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in the relation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intimacy and ageism, the image of the elderl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intimacy and perception and attitudes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the image of the elderl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image of the elderly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grandparents-grandchildren intimacy and discriminating behaviors against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image and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prevent ageis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