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비대면 교육에서 학습자의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영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이용수 1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Impact of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on Learning Outcome in university remot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HRD학회
- 저자명
- 김준원 한승연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제1권 제2호, 61~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배경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
연구목적 : 대학 비대면 교육에 있어서 비대면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성과의 질을 향상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학습경험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실재감에 관한 연구가 필요
연구방법 :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325명 대상 모바일 설문조사, SPSS 및 AMOS 등 통계 패키지 활용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
연구결과 : 대학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교수 실재감은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에 유의하게 영향이 있음.
시사점 :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의 수업 설계에서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을 고려한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
영문 초록
Background of Study :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due to the COVID-19 pendemic.
Research Objective : In university non-face-to-face educ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outcomes in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has been raised, and research on reality is needed as a variable that explains the learning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 Mobile survey of 325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tatistical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using statistical packages such as SPSS and AMOS Results and Discussion : In university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cognitive presence directly or indirectly significantly affects learning outcomes, and teaching presence significantly affects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Significance of Study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practical measures considering the sense of professor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education class design at universit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