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또래유능성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children’s perceive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peer competence on children’s happines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김예슬(Ye Seul Kim) 이주연(Joo-Ye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8권 제6호, 127~1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level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on their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Jeollanam-do. They responded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peer competence, and happiness. For the dat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a sub-factor of happines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in open-type communication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hildren's happin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Third,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overall happiness were in the order of peer competence, open-type communication, problem-type communication, and gender. The variables influencing and the order of relative influence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peer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vergent program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with fathers, peer competence, and children's happiness are necessar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기 미디어 사용이 주의집중 문제를 매개로 아동 중기 그릿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미디어 방임적 중재 및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의 구조적 관계
 - 영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피트니스 트래커를 활용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관련 생체지표 특성 경향과 심리척도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Big5성격유형에 따른 양육참여 및 양육스트레스
 - 부모 놀이참여와 유아의 친화적 놀이주도성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또래유능성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