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효과
이용수 195
- 영문명
- The Economic Effec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헌수(Heon-Soo Jung) 김정욱(Jung-Uak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75~1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 정책의 경제적 효과 외에 다양한 본원적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논문들은 많다. 그러나 실제 정부의 해당 정책들이 본원적 효과와 더불어 경제적 효과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히는 논문은 수가 적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 진흥원이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예술꽃씨앗학교 사업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인 복지시설문화예술교육, 범부처협력 문화예술교육 등을 대상으로 교육체험자들이 느끼는 경제적 지불의사(willlingness to pay:WTP)를 질의하여 교육체험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교육참가자그룹과 이와 유사한 비교육참가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 대해 WTP를 질의하고 이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진정한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였다. 문화예술 교육참가자, 비참가자그룹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WTP를 비교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참가자의 경우 비참가자에 비해 2배 정도의 높은 가치를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의 경우 교육참가자가 35.04만원 비참가자 13.625만원으로 나타나 교육참가자가 2.6배 정도 지불의사(WTP)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생들의 교육참가자가 34,525만원 비참가자가 18.09만원으로 드러나 참가자가 1.8배 WTP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미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범주화하여 견해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Many studies argue main benefits involving in their aras in addition to ecnomic aspects. Few studies reveal good economic status of their areas in addition to main benefits of their area. This paper measures willingness to pay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y received. They divide people into two groups(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on group) and meaure WTP and compare the values of the two groups. Our study was run for the two major groups: students and old age people. Our results reveal education participation group shows twofold higher WTP than nonparticipation group. For old age people, education partcipation group shows three hundred fifty thousand won vs. nonparticipation group thousand and three hundreds won. For students, education participation group shows three thousands four hundreds won vs. nonparticipation group one thousand and eight hundreds won, In the conclusion part, I interprete higher WTP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group in a various wa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경제 지표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