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Vocational Professionalism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김선형(Kim, Sun Hyeong)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2권 제2호, 129~1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의 직업 전문성 관련 이론들과 경험적 연구를 근거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전문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장애인 재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장애인재활상담사” 2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장애인재활상담 사의 직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역량강화(권한부여), 조직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독 립변수로 투입하고, 직업 전문성에 대한 영향력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학력이 직업 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독립변수 중에서는 역량강화(권한부여)의 하위요인인 환경통제, 개인 업무지향,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합리 문화, 직무만족이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가 국가자격으로 전환된 후, 직업 전문성 관련 국내 최초 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발전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개인·조직·사회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based on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vocational expertise in various field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Rehabitation counselors” working at rehabilitation site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For the collected data, empowerment,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vocational expertise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education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vocational expertise, and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ontrol, personal work orientation, r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effect on vocat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in Korea related to vocational expertise afte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was converted to a national qualification. Based on the verified results, a plan to develop vocat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the disabled was proposed, and continuous development in term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promo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형(Kim, Sun Hyeong). (2022).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영향요인 연구. 직업재활연구, 32 (2), 129-155

MLA

김선형(Kim, Sun Hyeong).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영향요인 연구." 직업재활연구, 32.2(2022): 129-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