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의 성과와 발전방안

이용수  132

영문명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for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승욱(Lee, Seung Wook) 임희정(Lim Hee jeong)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2권 제2호, 99~1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재보험에서 실시해온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에 대한 그간의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2 년에서 2020년까지 근로복지공단의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 실적과 2017년 요양을 종결한 산재 근로자 중 사례관리서비스를 받은 집단 100명과 서비스를 받지 않은 집단 101명을 대상으로 사례관 리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가 미이용자에 비해 직업 복귀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원직장 복귀율도 더 높게 나타났다. 재활서비스 만족도 역시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자가 미이용자에 비해 더 조기에 서비스를 이용하였고, 재활서비스 효과도 더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사례관리서비스 대상자 선정 시 직업복귀가 보다 용이한 대상자를 선정한 부분이 있었고, 사례관리서비스 욕구가 없는 불필요한 대상자를 선정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산재근로 자 욕구중심이 아닌 서비스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운영에 대한 문제점도 나타났다. 사례관리서비스 만족도에 대해서는 확신성과 유형성은 만족도가 높았으나 신뢰성과 대응성에 대한 중점 개선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ase management service for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by examining the performances of the case management service for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To this end, the performances of case management service for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from 2012 to 2020 was analyzed. A case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100 workers in the group who received case management service and 101 people in the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ervice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who completed medical care in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se management service users showed a higher rate of return to work than non-users, and the rate of return to original work was also higher.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service, it was found that case management service users used the service earlier than non-users, and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was better. However, when selecting the case management service target, there was a part where it was easier to return to work, and there was a problem in selecting unnecessary subjects who did not have the desire for case management service.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with the service operation centered on service providers, not on the need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s for satisfaction with case management service, assurances and tangibles were high in satisfaction, but it was found that focused improvement efforts on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we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산재근로자 사례관리 선행연구
Ⅲ.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 성과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욱(Lee, Seung Wook),임희정(Lim Hee jeong). (2022).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의 성과와 발전방안. 직업재활연구, 32 (2), 99-127

MLA

이승욱(Lee, Seung Wook),임희정(Lim Hee jeong). "산재근로자 사례관리서비스의 성과와 발전방안." 직업재활연구, 32.2(2022): 99-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