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육계획안을 통한 실천 분석: 유 · 초 연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370
- 영문명
- A practical analysi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planning: Focusing on the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nec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권미량(Meeryang Kweon) 김초롱(Cholong Kim) 김민정(Minjung Kim) 류지원(jiwon Ryu)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3호, 109~1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행 유치원 교육계획과 초등학교 교육계획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실천 인식과 교육계획안을 통해 드러나는 실천 양상을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유·초 연계를 위한 접근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사 3명,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유치원 7곳, 초등학교 4곳의 교육계획안 수집 및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중심의 유아 교사 자율성 : 대강화 전략에 따른 교사 수업 자율권’, ‘놀이 흐름을 따르는 일과 구성 : 놀이를 활용한 수업 계획’, ‘유아를 향한 관찰을 담는 계획 : 교육내용의 설계 기록’, ‘유아교사의 개별 노력 : 학교 단위의 계획 시스템’, ‘주제나 유아 흥미에 따른 계획안 : 교과의 도달 목표에 따른 계획안’, ‘기대를 품은 놀이 계획안 : 가상 통합교과’, ‘놀이 지원자료 계획 : 수업자료 구상과 메모’, ‘놀이 지원을 위한 교사공동체 : 교과 운영을 위한 교사협의회’의 8가지 상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 역량 강화와 상호협력, 제도 보완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상적인 유·초 연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approach direction for connection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actic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lans, as well as the practice patterns revealed by the education plan. To this end,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irst interviewed about the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 education plans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lan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ext, educational plans for seven kindergartens and four elementary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antly, “Children-centered autonomy: teacher autonomy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strategy”, “play flow: lesson plan using play”, “design record of educational content”,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effort: school-level plan”, “plan to reach the subject”, and “plans to pla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mutual cooper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 was emphasized, and specific measures and directions for ideal connec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