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378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Psychological Safety of Corporate Employe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4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47편을 선정하였으며, 심리적 안정감 선행변인및 결과변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심리적 안정감의 개인 수준 선행변인은 자기효능감, 임파워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긍정적정서, 긍정적 리더관계, LMX, 여가활동, 직무특성, 사회적 자본, 진정성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리더 유머 사용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나 개인의 긍정 정서와 긍정적 리더 관계 관련 변인들이 주요한 선행변인으로확인되었다. 또한, 심리적 안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침묵풍토도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그룹 수준의 선행변인과 심리적 안정감의 관계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긍정적 리더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팀 규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안정감의 개인 수준 결과변인은 혁신행동, 직무열의, 발언행동, 조직몰입, 창의성,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침묵행동, 주도적행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그룹 수준의 결과변인과 심리적 안정감의 관계에서는 팀 유효성과 팀 성과가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 관련 변인들에 관한 연구 확대, 심리적 안정감 관련 개념 및 측정 방법을 고려한 비교분석 등의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on psychological safety of corporate employees. This study analyzed 47 journal papers in Korea for identifying the effect sizes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individual-level antecedents variables of psychological safety, the effect sizes were identified highly in order of self-efficacy, empowering leadership, participative leadership, inclusive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emotions, positive leader relations, LMX, leisure activities, job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s use of humor. In addition, climate of silence and psychological safety were negatively related.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leader rel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fety in group-level. Third, among individual-level outcomes variables of psychological safety, the effect sizes were identified highly in order of innovation behavior, job engagement, voice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creativ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performance, silence behavior, taking change behavior. Forth, team effec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fety in group-level.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such as expanding related variables or comparing individual level with group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