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아동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82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이선영(Sun-Young Lee) 김상희(Sang-Hee Kim)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21권 제3호, 95~11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is for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 with ADHD. For this, research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study results in Korea released from 2000 to Sep.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cademic DB; 2,539 theses proper for the research objective were found from the 1st search word, 623 from the 2nd search word, and 12 from the 3rd criteria. Using CMA program, 26 effect sizes were estimat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group play therapy programs in the target theses, research on children with ADHD has continued since 2000, and mediating methods also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Second, the average effect size of all the group play therapy was 1.479, which indicates that effect size was fairly big. Third, as for effect sizes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 with ADHD according to mediating variables, it wa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DHD with emotion based group play programs (7.539), a single grade of students (1.685), number of students less than 7 (1.908), number of sessions 11∼15 (1.850), and required time for a session more than 51 minutes (1.861).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어머니의 대화 방식과 아동의 수줍음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놀이치료에 대한 모의 인식과 양육행동이 지각된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
- 놀이치료사의 가정방문 놀이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반려견과 함께하는 동물매개교육이 초등학생의 생명존중 인식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역전이를 경험한 예비 놀이치료자의 치료태도 변화와 역전이 대처과정 및 내담아동의 치료진보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학습습관이 진로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ADHD 아동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이혼진행과정 중의 비양육 부와 자녀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치료놀이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