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발현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문(Sungmoon Kim) 이광호(Kwang-Ho Lee)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2권 제1호, 17~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t with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re competencies that are important in the math curriculum afte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s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4 core competency keywords and 6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combin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nd the relationship in mathematics curriculum afte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problem-solving, which showed a high frequency in the four mathematics curriculum, and focusing on the status of problem-solving in each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Compared with other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nd ‘evaluation’ was much more complicated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problem-solving as a subject matter and key term is gradually recognized as import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not only for ‘problem solving’ but also for ‘evaluation’ in the future curriculum composition and school field.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Conclusion & Implication
References
Authors Informat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의 탐구 관련 단원 분석
- 스코폴아민을 이용한 치매 동물 모델 연구
- ‘탄소중립’을 위해 과학교육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가상현실(VR)과 서책형 기반 생명과학 학습에서 동기, 몰입, 사회성, 중독, 어지러움의 두뇌 연결망
- 교육에서의 권위 관련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에서의 권위
- 초등학교 과학 탐구 활동에서 리더와 소외 학생들의 외적, 내적 경험에 대한 분석
-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프로그램이 여성 치매 노인환자의 보행패턴과 보행수행능력 및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오 및 조언 피드백 학습지를 활용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전기 개념 변화와 피드백 수용도 특성 연구
- 인공지능을 활용한 생명과학 교수·학습 모델 개발
- 기하학적 도형 구성에서 나타난 아동의 사고 수준
- 청소년의 생명과학 학습에서 자기조절 과정의 두뇌 연결망 발달 모델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발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