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514
- 영문명
- Exploring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김은덕(Eundeok Kim) 김혜미(Hyemee Kim)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제4권 제1호, 115~14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서 경험하는 차별의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북 한이탈주민 3명을 심층 면접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상황적 구조 진술 분석과 일반적 구조진술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경험 하는 차별 경험에 대한 본질을 21개의 의미단위, 9개의 드러난 주제, 4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조 화하였다. 상황적 구조진술 분석에서 드러난 4개의 본질적 주제는 북한에서 한국까지, 한국에서 경험하는 양가감정, 열등감을 조장하는 한국 사회에서의 차별, 차별의 상처와 내면화이다. 일반 적 구조진술 분석에서 차별 원인은 한국 사람들의 문화적 우월감, 차별의 결과는 북한이탈주민 들의 문화적 열등감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스스로 차별을 받아들이는 것 과 동시에 다른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부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of three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d situational structur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Through data analyses, the essence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was structured into 21 semantic units, 9 revealed themes, and 4 essential themes. In the general structural statement analyses, the cause of discrimination was analyzed as the cultural superiority of South Koreans, and the result of discrimination was analyzed as the cultural inferior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ccepted discrimination as part of their own and then exhibited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behavior against the same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한 사회적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교부적응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족상담 사례연구
-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 문화 특성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