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유형 분석: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86
-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of Achievement Standards Types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cusing on Numbers and Arithmetic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수진(Baek, Su-ji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1호, 57~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초등학교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의 성취기준이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개정‧고시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의 성취기준 총 299개를 추출하였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중복성 검토를 실시하여 성취기준 141개로 구성된 ‘수와 연산’ 영역 분석 틀을 구안하였다. ‘수와 연산’ 영역 분석 틀에 따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초등학교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의 성취기준 유형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멸형 성취기준은 98개(69.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가형 성취기준은 32개(22.7%), 연속형 성취기준은 11개(7.8%)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발 시 학년군별 연계성 및 수준의 고려, 성취기준 유형별 내용의 적정성,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체계화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achievement standards types in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irst of all, a total of 299 achievement standards were extracted in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from the 1998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the review of redundancy focusing on mathematic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consisting of 141 achievement standards was devised. Based on the Number and arithmetic domain analysis framework,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y the revision period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Change patterns were analyzed as continuous-type, extinction-type, and addition-type. As a result, the extinction-type achievement standard was the highest with 98(69.5%), followed by 32(22.7%) additional-type achievement standards and 11(7.8%) continuous-type achievement standard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of number and arithmetic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ill be used as evidence to consider the relevance by grade level and reflect student level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