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아동청소년의 실태 및 욕구조사설계를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이용수 522
- 영문명
- A Delphi Study for Designing the Social Survey and Needs Assessment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nd Youth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김학령 김유연 이민영 장인숙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2권 제3호, 137~17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탈북청소년 관련 조사에서 분절적이고 편의적으로 다루어졌던 탈북 아동청소년의 욕구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항목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회의 전문가 면접조사(1차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100명 대상 설문조사(2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0세부터 24세까지 전 발달단계에서 탈북 아동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부모의 정서적 지원, 가족유대감(보육 및 돌봄 영역), 건강상태와 치료받을 기회(건강 및 보건 영역), 한국어 소통정도, 지역사회 지지망(사회통합 영역)이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기와 학령기 집단에서는 양육자신감, 부재 시 돌봄, 규칙적 식사, 부모의 우울, 교사와 관계가 중요하였으며, 학령기와 후기청소년기 집단에서는 학업효능감, 친구관계, 자기이해, 진로계획(교육 및 진로 영역), 직업관, 진로관련경험과 도움 정도(노동 및 취업 영역), 소속감, 차별경험, 공동체의식, 도움 받을 사람 유무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 탈북청소년 조사에서 배제되었던 영유아기와 후기청소년기를 포괄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성장단계별 발달과 욕구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 설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며, 탈북 아동청소년을 위한 실태 및 욕구조사의 개선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need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nd youth, who have until now been segmented in social surveys and need assessments. To this end, four expert group interviews (first Delphi survey) and a survey of a hundred experts (second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from infant to late adolescence groups. For the infant and school-age groups, parenting confidence, absenteeism, regular meals, parental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are key, while in the school-age to late adolescence groups, academic efficacy, friendship,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s (education and career area), a sense of belonging, discrimination, and community are crucial.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a survey design that studies changes in growth stages and needs according to life cycles, and suggests steps for improvement.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