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Preschool Children Creativity Relative to Play Style and Mother s Rearing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채호(Chae-Ho Lee) 이찬숙(Chan-Sook Lee)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8권 제3호, 137~14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4곳의 유아 214명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수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며보면 유아의 창의성과 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에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비놀이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양육태도에서는 자율적양육태도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통제적양육태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결과 인지놀이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음으로 운동놀이, 애정적양육태도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children s creativity relative to play style and their mother s rearing. Participants included a combination of tatal 214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Seou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s-r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made between cognitive, language, social, emotional and movement play of preschool children s and creativity and between autonomous rearing and creativity. However, negative correlations were drawn between non-play of preschool children and creativity, and between control rearing and creativity. Second, creativity was predicted by cognitive play, movement play and affection-rear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
- 어린이 놀이터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 관리 실태
-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 분석
- 유아의 놀이유형과 어머니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과정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경북 문경시 다문화가정의 결혼과 양육 실태
- 유아의 유머 특성 및 또래 관계 속 유머를 둘러싼 맥락적 요소와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비전통적 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