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0

영문명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on young children 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basic physical fitness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김주연(Ju Youn Kim) 김정민(Jung Min Kim) 김경숙(Kim, Keyng Suk)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2권 제4호, 25~4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 5세, 2개 학급의 유아들로서 실험집단 19명과 비교집단 17명 총 36명이었고, 5주 동안 일주일에 3회씩 총 15회, 실험집단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자유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으로 구성된 안을섭(2005)의 기초체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은영(2007)과 최지연(2012)의 기본운동능력 검사 중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후 실험집단은 기초체력의 민첩성에서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기초체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실험 후 실험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이 비교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with balls on young children 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their basic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were 34 five-old-years children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 from two classes out of H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free physical activities,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The tool measuring children 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was modified based on the tests utilized by Park (2007) and Choi (2012). The tool to measure children s basic physical fitness included five items(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which were selected from items of tests first developed by Ann (2005)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ss motor maneuver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basic physical fit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physical activities using are meaningful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 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basic their physical fit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연(Ju Youn Kim),김정민(Jung Min Kim),김경숙(Kim, Keyng Suk). (2013).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 (4), 25-45

MLA

김주연(Ju Youn Kim),김정민(Jung Min Kim),김경숙(Kim, Keyng Suk).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4(2013): 2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