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저자명
- 유하얀(Yoo, Ha Yan) 김미옥(Kim, Mi Ok)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10권 제2호, 5~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6개 지역에 있는 장애인거주시설 6개소의 사회복지사 7명이었으며, 개별심층면접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 관계 경험은 5개의 상위범주와 22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으며, <익숙했던 모습 그대로>, <나와 우리가 먼저 변화되고>, <이해하고 양보하고>, <끝이 없는 고민이 계속 되고>, <어쩔 수 없는 한계에 부딪치고>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 depth the aspects, meaning, and context of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reby suggesting their social-welfar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B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seven social workers at six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ix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be grouped into 5 upper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In the familiar way as it is,’ ‘I and we changing first,’ ‘Understanding and giving way,’ ‘Continuing endless worries,’ and ‘Faced with limitations beyond control.’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social-welfare methods for establishing equal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ers an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분석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