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션인식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손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3
- 영문명
- Effect of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Motion Recognition Based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tents on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유경진(Yoo, Kyung-Jin) 김정기(Kim, Jeong-Ki)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5권 제2호, 35~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모션인식기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손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에 위치한 재활병원 2곳에 내원한 뇌졸중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모션인식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신체재활 프로그램을 8주간 주 3회, 1회 30분을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병행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중재 후 상지 및 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 Block test), 젭슨-테일러 손기능 검사(Jebson-Taylor Handfunction test), 퍼듀 페그보드검사(Purdue pegboard test)로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수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대상자들의 상지 및 손기능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나 손가락 미세근육 기민성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대상자들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모션인식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콘텐츠를 이용한 신체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상지 및 손기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가상현실콘텐츠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함께 임상에서 새롭게 활용될 수 있는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s using motion recognition
based virtual reality contents on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oke patients.
Methods : In this study, a sing group formed as pre and post design was used for 18 Stroke patients who visited two rehabilitation hospital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Motion recognition based immersive virtual reality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and 30 minutes per week in parallel with traditional work therapy.. To identify changes in post intervention of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we measured with a Manual function t es t, a B ox & block t es t, a J ebson-Taylor hand f unction t es t, a nd a Purdue p egboard test. It was also measured with the Modified Barthel Index to identify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s of the subjec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finger fine motor dexterit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motion recognition-based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tent is effective for upper limb and hand function in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s using motion- aware,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tent can be newly utilized in clinical practice along with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사적 간병인 고용이 수반된 일반병동의 환자경험과 안전경험 비교 분석
- 치매환자가족의 주관적건강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초기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부양 경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 부담 요인
- 코로나19 이후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비대면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목공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 모션인식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손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동작관찰을 병행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과 직무스트레스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 기반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