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 부담 요인
이용수 670
- 영문명
- Effect of the Burden of 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with Dementia and Main Caregiver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최정은(Choi, Jung-Eun) 이연화(Lee, Yeon-Hwa)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5권 제2호, 137~14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주 부양자의 특성별 맞춤형 프로그램과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치매정책 사업지침 내 가족지원사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우울의 정도와 치매태도, 부양부담,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를 포함한 자가기입 돌봄부담 분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각각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와 Dementia Attitude Scale: D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로 평가하였고,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는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를 통해 치매환자의 심한정도 및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의 서비스 요구도를 5가지 명목척도로 조사 하였다. 연구조사 방법은 우편 및 대면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대한 설명 및 동의를 포함한 설문지를 총 423부를 배부하여 이 중 152부를 회수하였고, 응답에 충실하지 못한 41부를 제외하여 최종 111부룰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부담을 비교한 결과 환자의 정신행동증상여부 (p<.05)에서 배우자 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환자의 특성과 부양자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환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환자의 연령과 부양자 간의 관계가 치매태도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 운영 추진 시 주 부양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환자와의 관계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to propose customized programs and support plans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 s who use the Center for dement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the Center for dementia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a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Dementia Attitude Scale: DAS, and the Caregiver’s support burden was evaluated 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 and whethe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Scale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degree of pain of caregiver.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support project of the Center for Dementia,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and face-to-face interviews. A total of 423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52 of them were recovered, and the final 111 cop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excluding 41 copies that were not faithful to the survey.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urden of ca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p<.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of dependents and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 s age.
Conclusion : The Center for dementia needs to organize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an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sh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사적 간병인 고용이 수반된 일반병동의 환자경험과 안전경험 비교 분석
- 치매환자가족의 주관적건강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초기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부양 경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 부담 요인
- 코로나19 이후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비대면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목공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 모션인식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신체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손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동작관찰을 병행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과 직무스트레스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 기반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