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본 성폭력과 기독교 상담
이용수 79
- 영문명
- Christian Counseling in Psycho-Social Perspective for Sexual Abus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임경수(Kyungsoo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16권, 149~16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ime goes on, we have experienced lots of sexual violence occurring not only all around the world but also domestic area. The more we have socalled civilized milieu, the more we experience sexual abuse. Interestingly enough, 80%-90% of sexual abuse have occurred by those who have personally acquaintance with victims. As it were, sexual violence is within families and neighbors who are trusted in communities. Thus, I have researched the mind of sexual abuser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abuser’s inadequate accountability, inner evil which is shown as the problem of intimacy among people, and social evil which shapes and influences the abuser’s mind world and behavioral patterns. Also, including the three elements, I have shown theological insights dissecting regarding hierarchical social system and dichotomy existing in social syst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Ⅲ.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상담학, 고난에 대한 해석
- 에릭슨의 이론을 통해 본 영적 발달 이해
- 여성학대의 관계적 요인에 대한 성찰
- “네가 낫고자 하느냐?”
- 가족희생양 메커니즘에 관한 체계론적 연구
- 적 초월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
- 기독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성향과 심리사회적 특성과의 관계
- 목회상담에서의 이야기 치료를 통한 개인적 정체성의 이야기로부터 하나님과의 관계적 정체성의 이야기로의 전환
-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연구
- 심리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본 성폭력과 기독교 상담
- Gottman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부부의 심리적 특성 연구
- 기독교 상담의 통합에 관한 모델과 영역에 관한 개요
- 심리전기적 연구방법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