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의 사별 경험
이용수 2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최주희(Choi, Joo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9권 제2호, 213~25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이 가족의 자살 이후에 어떤 경험을 해왔는지, 그 과정에서 영성과 종교 공동체의 영향과 역할은 어떠했는지 그 본질과 의미를 규명하고,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을 위한 체계적 돌봄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기독교 신앙이 삶과 정체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표명한 기독교인(개신교인)들로, 가깝고 친밀한 관계의 가족을 자살로 사별한 지 1년 이상 경과한 만 19세 이상 성인 자살 유가족 11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8개의중심 의미와 4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의 사별 경험은 “말할 수 없는 죽음”이다. 특히 유가족들이 소속해 있는 교회 공동체에는 그동안 기독교가 역사적으로 자살에 부착한 낙인으로 인해 더욱 드러내거나 알릴 수 없다. 기독교 신앙은 자살 유가족에게 더 무겁게 하는 짐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한편 의지할 수 있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Watkins Ali의 방법론으로 신학적 성찰을 하고, 기독교인 자살 유가족을 위한 돌봄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trategies for providing systematic care for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fter the suicide and tracing its impacts on the spirituality of the bereaved and the religious community as a whole.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this study and 11 Christian(Protestant) participants of the age of 19 or older were selected who lost a close and loved member of their family to suicide more than a year ago. The bereavement experience of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is a “death the bereaved cannot freely talk about.” In particular, the bereaved are very reluctant to reveal the suicide of the deceased to the church community due to the stigma that Christianity has historically attached to it. Christian faith often becomes a burden that weighs more on suicide families, but it is also a source of reliance. Based on the outcome of the analysis, theological reflection was conducted in the methodology of Watkins Ali and a care plan for Christian families affected by suicide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론 및 연구 진행 과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돌봄 전략
Ⅴ. 연구의 의의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