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기독교인의 부부갈등과 분노의 관계에서 용서와 감사의 조절효과
이용수 139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Anger in Christian Wome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김사라형선(Kim, Sarah Hyoung Su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30권 제4호, 9~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기독교인의 부부갈등과 분노의 관계에서 감사와 용서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S시에 위치한 3개 교회의 여성 232명이고, 부부갈등척도, 분노척도, 감사척도, 용서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21.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내었고,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2.1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 분노, 용서, 감사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부갈등과 분노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과 분노의 관계에서 감사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부갈등으로 인해 분노가 있는 여성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용서, 감사 집단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하였고 상담 및 치유 전략으로 용서와 감사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gratitude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anger among Christian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2 married Christian women who reside in G Si and S Si.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Marital Conflict Scale, Forgiveness Inventory, Gratitude Scale, and Anger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Hayes Process 21.0.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orgiveness, gratitude, marital conflict, and anger. Second, it was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anger. Third, it was also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anger.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counseling techniques to increase forgiveness and gratitude for Christian women in marital confli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