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895
- 영문명
- The Effect of Job 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Identi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이상준(Lee, Sang-June)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8권 제4호, 93~1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완화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 대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부모지지는 취업스트레스와 조절함으로써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충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에서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하며, 부모지지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가족관련 교양교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eeking, ego identi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he buffering effect of ego identi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ver negative influence of job seeking stres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57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 in South Korea,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seeking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and ego identity, self-esteem, parent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cond, ego identity, self-esteem, and par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and a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job seeking stress. This suggests that a university should constantly operate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and open family-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parental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돌보미 사업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현황 및 개선방안
- 대학생의 향유하기로 유도된 긍정 정서가 주의 확장과 친사회적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양육행동 유형 연구: 독립성 및 주체성 증진과 심리적 통제를 이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성실성과 자아고갈이 대학생의 자기통제 실패에 미치는 영향: 부정행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의 이중매개효과
- 초기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실천과 모-자녀관계의 재구성: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