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체육시설 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
이용수 18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ports faciliti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김석규(Kim, Suk-Kyu) 김현정(Kim, Hyun-Jung) 유재구(Yu, Jae-Gu)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4권 제4호, 17~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규 체육교과를 위한 체육시설을 포함하여 학교운동부 및 클럽 스포츠와 같이 학교 내에서 운영되는 체육활동시설을 중심으로 현황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 초·중·고 학교운동부가 있는 학교체육시설의 현장관리 실태조사를 통하여 학교체육시설 운영에 대한 개선점 도출과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 초·중·고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체육시설 운영현황조사 및 안전도, 노후도, 관리상태 등의 항목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현황 및 실태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논의, 그리고 관련 법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실시하였다. 학교체육시설 운영에 대한 정상화 논의와 법률에 대한 논의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체육시설의 운영과 실태조사 결과 운영규모와 내용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육시설 자체는 물론이고 기본부대시설인 화장실, 샤워실, 관람석 등 모든 것이 부족하였다. 현장실태 점검결과 안정도, 노후도, 관리상태는 노후도가 가장 좋지 않고, 안전도와 관리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정책 효율성을 중심으로, 체육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 정작 다양한 인프라 중에서 체육시설 확보에 대한 내용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시설 측면에서 보면 효율화를 추구하기에 앞서 절대적인 기본수준의 시설 인프라에 대해 법 제도적으로 상향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학생이 가장 가까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학교 내에서의 체육시설은 매우 부족하며, 이에 관한 학교체육시설에 관한 법률은 거의 사각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교체육시설의 확충 및 관리를 중심으로 한 법제도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flower survey and field inspection focusing on physical activities operated within the school such as the school sports department and club sport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for regular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rovement points for the operation of school sports facilities and make policy suggestions through on-site management of school sports facilities with the Seou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orts Depart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school sports facilities and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with items such as safety level, old age, and management statu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situation inspection results, content and related laws were discussed. The discussion on the normalization of the operation of school sports facilities and the discussion of law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and condition inspection of the replacement meat fac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scale and contents of the operation were very poor. Not only the sports facilities themselves, but also basic facilities such as toilets, showers, and spectator seats were lacking. As a result of the on-site inspec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ty, old age, and management status were the worst, and the safety and management status were relatively good.
Currently, the revitalization of sports is being pursued with a focus on policy efficiency. In fact, among the various infrastructures, there is very little information on securing sports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erms of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and institutional upgrade standards for the absolute basic level of facility infrastructure before pursuing efficiency improvement. However,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in the schools where the students spend the most time are very scarce, and the law on school sports facilities in this regard is almost dead.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should be held centered on the expansion and management of school sports facilities.
목차
Ⅰ. 학교체육시설 개선 필요성
Ⅱ. 학교체육시설 현황 및 실태조사 방법론
Ⅲ. 운영 현황 및 실태조사 결과
Ⅳ. 학교체육시설 운영 정상화 방안
Ⅴ. 학교체육시설 법 제도적 개선방안
Ⅵ.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