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과제 설계 및 실행: 초등학교 수학과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14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Task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진형(JinHyeong Park) 김동원(Dong-W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1집 제2호, 257~2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과제 설계 방법과 절차를 도출하고, 이를 따르는 수학과제의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수학과제 개발 원리에 기초하여 수학과제의 유형, 인지적 수준 및 체제를 중심으로 수학과제 개발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준수하는 수학과제를 초등학교 내용을 소재로 개발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학과제 개발 과정에서 초기에 개발한 수학과제의 적용 결과에 비추어 수학과제의 주요 요소들을 수정하면서 수학과제의 유형, 인지적 수준, 체제에 변화를 주는 방식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rive a development method of mathematical task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e also aimed to present a case of task design and applicatio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ypes, cognitive demands, and systems of mathematical task to derive a development method of mathematical tasks. We address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thematical task for elementary students. Analyses of data from task design and application a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task design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수학과제의 개발 방법과 절차
1.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수학과제의 의미와 개발 원리
2. 수학과제의 유형
3. 수학과제의 인지적 수준
4. 수학과제의 체제
5. 수학과제 개발 방법 및 주요요인
Ⅲ. 연구 방법
1. 과제 개발-적용-분석 틀
2. 수학과제의 요소와 과제 변형
Ⅳ. 과제 개발 및 적용 사례
1. 과제 초안 및 그 특성
2. 수정 과제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경 시민성 교육의 이론적 탐색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반영 양상 분석: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 구축 연구
-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음악활동에서 관찰되는 유아 인지행동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 문제 분석지를 통한 예비체육교사의 수업 실연 준비 과정의 어려움 및 극복방안 탐색
-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과제 설계 및 실행: 초등학교 수학과제를 중심으로
- 수학영재학생들의 추측과 문제 제기 및 해결 활동 사례 – 피타고라스 3중수를 중심으로1
- 고등학교 역사과 진로선택과목 개발 방향 탐색
-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STS 교육내용 분석
- 온라인 텅 트위스터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의 발음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GKS 유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차성: 한국어 연수과정과 학위과정의 교우관계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
- 미국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 사례를 통한 국내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제언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