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국내 간호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18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f trends i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in Korean nursing
- 발행기관
- 다문화건강학회
- 저자명
- 강설아(Seol Ah Kang) 김미연(Mi Yeon Kim) 유은경(Eun Kyung Ryu)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건강학회지』제11권 제2호, 65~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pers published from 2016 to 2020 that involved studies that applied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o domestic nursing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33 studies on nursing education reported in domestic journals were reviewed. The RISS, KISS, DBpia, NDSL,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analysis criteria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udy design of nursing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were analyzed. Result: Among the studies reviewed, 26 were quantitative studies (78.9%), followed by 3 qualitative studies (9.1%) and 4 mixed studies (12.1%). The subject that was most studied was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ccounting for 9 instances (27.3%). The main variables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diverse,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Qualitative research was about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Conclusion: The flipped learning method was effective in imparting the core competency content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Hence, educators should seek various ways in which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to enhance nursing education.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과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국내 간호교육 연구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교과 과정 참여 경험의 주제중심 내용분석
-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독감 예방접종 여부에 따른 독감의사질병 발생
- 비교과 자기개발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 카데바 해부 및 어학 연수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기은폐와 전문적 상담 추구 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전공 4학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경험과 인식 및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