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485
- 영문명
-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a Woman Victimized by Drunk Driving Acciden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윤해정(Yun, Hae-Jung) 김지은(Kim, Jee-Eu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5호, 1239~12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로 사고 이후 본인은 물론 가족에까지 심각한 피해를 준 사고에 관한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20년 전 음주운전 뺑소니 차 사고를 입은 50대 중반 여성 1인으로 2020년 6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90분씩, 총 20회기 개인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회기 연구수행일지, 참여자의 회기 반영 글쓰기 자료, 축 어록과 미술 활동 작품 사진으로, 단일사례에 대한 이해와 의미형성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을 통한 단계별 심리 변화는 자기표현을 통한 정체성 인식, 자기 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형성, 자기 주도적인 소망의 변화로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작품에 나타난 심리 변화는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 관계의 변화, 자아 성장 욕구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가중된 심리적 충격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경험함으로써 자아 성장의 새로운 변화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As a single case involving art therapy for a woman who was in a traffic accident caused by a drunk dri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e woman experienced after the incident, which has also seriously affected her family since it occurred. For this study, 20 art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from June 20, 2020 to September 2 2020; the participant was in her mid-50s a car accident involving hit-and-run 2 drunk driver 20 years ago.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include activity records, the participant’s writing materials, verbatim records, and photographs of work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records, this study involved creating two categories based on understanding a single case and meaning formation. First, the following step-wise psychological changes of art treatment experiences occurred: Identity recognition through self-expression, formation of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and change in self-directed wishes. Secon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changes occurred in art works: change of aggressive attitude, change in relations, and change of desire. As a result, the art therapy has reduced the psychological impact on a woman who was the victim of a drunk driving accident and allowed her to experienc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ositive self-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촉감각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틱 증상 아동의 틱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예비부부의 자기성찰 기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맞벌이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ETC를 기반으로 한 집단예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창조적 연결성에 미치는 효과
- 초기개입 미술치료를 경험한 탈북 후기청소년의 남한정착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MAT)을 활용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대인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 제주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의 그림 표현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