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교과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원격 수업 만족도 조사
이용수 461
- 영문명
- A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arning in Music Subject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조아영(Ahyoung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0권 제3호, 161~1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악교과 원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요인별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원격 수업에 참여한 경기도 소재 고등학생1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의 배경 변인에 따른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반면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 전반적 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발견되었다. 둘째, 원격 수업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콘텐츠, 상호작용, 시스템의 영향력을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격수업에서의 콘텐츠 품질과 시스템 기능이 향상될수록 전반적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ar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tance learning in music subject classes, and to draw implicat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8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all factors of satisfaction-content, interactivity, system,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examine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grade. As a resul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all factors of satisfactioncontent, interactivity, system, and overall satisfaction, whe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according to grad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fluences of content, interactivity, system on the overall satisfactionon with distance learning, an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content quality and system functionality improved in distance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콜로키움 보고서 Colloquium Annual Report 2021
- 음악적 소통 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관련 변인 탐색
- 생애사적 접근으로 본 음악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변화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방향(안)에 따른 새로운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 음악교육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발달연구 동향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음악교과서 및 지도서에 나타난 신체 움직임 교육 내용 분석
- FGI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음악 수업 개발 방향 탐색
- 음악 교과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원격 수업 만족도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