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학(學父母學) 분야에서 근거이론의 연구 방법론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이용수 251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Grounded Theory in the field of Parent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최유희(Choi, Yoo-hee)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8권 제3호, 39~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 등장한 새로운 탐구영역인 학부모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분야 연구에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근거이론은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많은 관심과 실천적 적용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사회과학인 간호학,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등의 분야에서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의 본래 연구인 인식론적 관점에서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활용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타당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근거이론의 개념과 취지, 분석 과정, 의미 도출 등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정리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학 방면의 연구에서 이 연구 패러다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학부모학에서 근거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al studies, which are new research areas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in this field research. The grounded theor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such as nursing, sociology,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forms a major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paper, I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search direction after critically examining how Strauss and Corbin s paradigm model are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research epistemology of the grounded theory of the creation of field theory. For this, methodological assumptions such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ss, and meaning derivation were summarized. Then, by understanding how this research paradigm is being used in the study of pedagogy, we discussed how the grounded theory should be developed in parental studies,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학부모학의 개념과 연구 주제에 대한 이해
Ⅲ.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에 대한 이해
Ⅳ. 학부모학 연구에서 근거이론의 활용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